NGC 5195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GC 5195는 1781년 피에르 메섕이 발견한 은하이다. 소용돌이 은하(M51)와 상호작용하는 은하쌍으로, 은하 조석 다리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작용을 통해 M51의 나선 구조가 강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NGC 5195는 소용돌이 은하와의 중력적 상호작용으로 인해 형태가 왜곡되어 렌즈상 은하 또는 불규칙 은하로 분류된다. NGC 5195에서 발견된 유일한 초신성은 1945년 발견된 SN 1945A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M51 은하군 - 소용돌이 은하
사냥개자리에 위치한 나선 은하 소용돌이 은하는 뚜렷한 나선 팔 구조와 동반 은하와의 상호작용, 초신성 관측, 그리고 은하 외부 행성 후보 발견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M51 은하군을 이루고 있다. - M51 은하군 - 해바라기 은하
해바라기 은하는 메시에 63으로도 불리며, 해바라기 꽃을 닮은 외형을 가지고 1779년 피에르 메샹에 의해 발견되었고, 1971년에는 초신성 SN 1971I가 관측되기도 한다. - LINER 은하 - 메시에 94
메시에 94는 저이온화 핵 방출 영역을 가진 나선 은하로, 내부 및 외부 고리 구조를 가지며 강력한 별 형성 활동이 일어나고 M94 은하군에 속하며 1781년에 발견되었다. - LINER 은하 - 해바라기 은하
해바라기 은하는 메시에 63으로도 불리며, 해바라기 꽃을 닮은 외형을 가지고 1779년 피에르 메샹에 의해 발견되었고, 1971년에는 초신성 SN 1971I가 관측되기도 한다. - 사냥개자리 - 소용돌이 은하
사냥개자리에 위치한 나선 은하 소용돌이 은하는 뚜렷한 나선 팔 구조와 동반 은하와의 상호작용, 초신성 관측, 그리고 은하 외부 행성 후보 발견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M51 은하군을 이루고 있다. - 사냥개자리 - NGC 4151
NGC 4151은 중심부의 거대한 블랙홀과 주변 가스의 상호작용으로 엑스선을 방출하는 은하이며, 엑스선 방출은 주변 가스의 성질 변화와 별 형성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 NGC 5195 | |
|---|---|
| 기본 정보 | |
![]() | |
| 별자리 | 사냥개자리 |
| 적경 | 13h 29m 59.6s |
| 적위 | +47° 15′ 58″ |
| 적색편이 | 465 ± 10 km/s |
| 거리 | 2500만 ± 300만 광년 (7.7 ± 1 메가파섹) |
| 형태 | 비정형 또는 SB0 pec |
| 겉보기 등급 | +10.5 |
| 크기 | 5′.8 × 4′.6 |
| 다른 이름 | IRAS 13278+4731 MCG +08-25-014 CGCG 246-009 VV 001b 메시에 51b UGC 8494 PGC 47413 Arp 85 HOLM 526B |
2. 역사
NGC 5195는 1781년 3월 20일 프랑스 천문학자 피에르 메섕에 의해 발견되었다.[3]
NGC 5195와 소용돌이 은하(NGC 5194)는 천문학에서 가장 잘 알려진 상호작용 은하쌍 중 하나이다. 두 은하는 먼지가 풍부한 조석 다리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먼지는 NGC 5195의 중심을 배경으로 실루엣처럼 보인다. 이는 NGC 5195가 소용돌이 은하 뒤쪽에 위치하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6] 이들의 상호작용은 M51의 나선 구조를 강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NGC 5195는 소용돌이 은하와의 중력적 상호작용으로 인해 심하게 왜곡되어 있다. 형태 분류가 어려운데, 때로는 렌즈상 은하로, 때로는 불규칙 은하로 식별되기 때문이다.[6] 이는 표준 형태 분류 체계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묘사되어 왔다.[6]
SN 1945A는 NGC 5195에서 발견된 유일한 초신성이다.[9] 1945년 4월 6일, 밀턴 L. 휴메이슨이 윌슨 산 천문대의 약 254.00cm 망원경을 사용하여 핵에서 북서쪽으로 10″ 떨어진 지점에서 발견했다. 이 초신성은 Ia형 초신성으로 분류되었으며, 최대 겉보기 등급은 14.0이었다.[10]
[1]
서적
The Complete New General Catalogue and Index Catalogue of Nebulae and Star Clusters by J. L. E. Dreyer
Sky Publishing Corporation 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3. 소용돌이 은하와의 상호작용
NGC 5195에서 뻗어 나온 세 갈래 구조는 소용돌이 은하의 조석 꼬리의 연장선으로 보이며, 여러 개의 거대한 기둥과 별의 흐름으로 이어진다. 2015년 관측에서는 "남쪽 기둥"과 "북동 기둥"이라는 두 개의 새롭고 희미한 조석 구조가 발견되었다.[7]
2016년 NASA의 찬드라 우주 망원경은 NGC 5195 중심의 블랙홀에서 분출되는 두 개의 거대한 가스 파동을 감지했다. 이는 초거대 블랙홀과 호스트 은하 사이의 '피드백' 현상의 예시로, 블랙홀이 별의 생성을 억제하는 동시에 촉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8]
4. 형태
5. 초신성
참조
[2]
간행물
The SBF Survey of Galaxy Distances. IV. SBF Magnitudes, Colors, and Distances
2001
[3]
웹사이트
SEDS: NGC 5195
http://www.seds.org/[...]
2007-10-13
[4]
간행물
Atlas of Peculiar Galaxies
1966
[5]
간행물
Galactic Bridges and Tails
1972
[6]
서적
Carnegie Atlas of Galaxies
Carnegie Institution of Washington
1994
[7]
간행물
Deep Imaging of M51: a New View of the Whirlpool's Extended Tidal Debris
https://ui.adsabs.ha[...]
2015-02
[8]
웹사이트
Black hole caught 'burping' galactic gas supply
https://www.bbc.co.u[...]
2016-01-05
[9]
웹사이트
NASA/IPAC Extragalactic Database
http://nedwww.ipac.c[...]
2006-12-07
[10]
간행물
Supernova in NGC 5195
194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